기사 메일전송
  • 기사등록 2017-10-10
  • 천병선 기자
기사수정


▲ 윤병국 시의원



대장동 벌판에서 농사체험을 한 윤병국 의원의 의정일기를 소개한다.


대장동 벌판에 공단을 만든다는 계획이 기정사실처럼 되고 있습니다. ‘환경도 좋지만 개발을 해야 발전하지라는 생각에 다들 방관하고 있는 일이기도 합니다. 사라질 위기에 처한 대장들 한 귀퉁이를 빌려서 농사를 짓기로 했습니다. 각자 생각은 달랐겠지만 개발을 반대하며 결사투쟁하는 방편으로 택한 일이 절대 아닙니다. 저는 위기에 처한 논을 잊지 않겠다며 참가했습니다.

뜻밖에 어린이들이 있는 가정에서 많이 신청했고, 그 분들이 농사 현장에도 많이 참가하셨습니다. 처음해 보는 일들이라 우왕좌왕하고 어색해했지만 흥분하고 행복했습니다. 같이 기록한 페이스북과 카카오톡을 더듬으며 초보농사꾼들의 한 해 농사를 사진과 글로 정리했습니다.


420일 토종볍씨 모셔오기
고양에 귀농하여 토종종자를 지키고 계시는 우보농장의 이근이 농부를 찾아가서 토종볍씨 7종을 모셔 왔습니다. 종자는 파는 것이 아니라 하셔서 한나절 품앗이로 대신하고 가을에 추수하여 10배로 갚는 조건으로 그저 얻어왔습니다. 말이 품앗이지 농사지식을 공짜로 전수받는 자리였습니다. 우리 땅에서 나는 토종벼가 1,450여 종이나 된답니다. 놀랍지요? 우리는 자광도, 자치나, 흑도, 대추벼, 흑갱, 대궐찰, 조동지 등 7종을 모셔왔습니다.

426일 모종 염수선, 침종
모판 만들기 위해 종자를 소독하고 물에 담갔습니다. 벼를 손바닥으로 비벼서 까락(벼에 달린 수염)을 제거한 다음 물을 부어 검불이나 겨를 제거 합니다. 이번에는 소금물에 담궈서 알이 부실한 쭉정이들을 제거합니다. 소금의 농도는 계란이 뜰 정도로. 이 과정을 염수선이라 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60-65도의 물로 열탕 소독을 했습니다. 이제 볍씨 종류별로 그릇에 담아 매일 물을 갈아주며 일주일가량 기다리면 볍씨가 발아합니다.   
429일 가족농부 첫 모임
올 한 해 동안 함께 농사지을 식구들이 모여 첫 인사를 나누었습니다. 같이 농사를 짓고 그 쌀을 나눠먹을 예정이니 식구가 맞네요. 우보농장 이근이 농부님이 오셔서 토종볍씨 이야기를 나눠주시고, 지난해 강서구 지역 대장벌에서 논농사를 지은 경험이 있는 물푸레생태교육센터 박재선 선생님도 오셔서 경험담을 나눠주셨습니다. 아이들도 함께 와서 시끌벅적 재미있는 시간이었습니다.


▲ 모판 만들기



53일 모판 만들기
침종한 볍씨의 뿌리가 너무 길게 자랄까봐 마음 졸이며 이 날을 기다렸습니다. 모판에 부드러운 상토를 깔고 물을 흠뻑 뿌린 후 뽀송뽀송한 볍씨를 살살 뿌려 줍니다. 그 위에 다시 상토를 덮어주면 모판 만들기 끝! 만든 모판은 층층이 쌓아서 따뜻하게 덮어 놓고 왔습니다. 모가 15cm 정도 자라면 모내기를 할 수 있다네요. 모판만들기를 끝낸 후 아직은 써래질이 안된 우리 논을 둘러보았습니다. 논갈기, 써래질 같은 기계작업은 농부의 도움을 빌려야 합니다.

520일 모판 나르기
모내기 날은 527일로 잡아 뒀는데 모가 너무 웃자란 것 같습니다. 초보농부들은 주말에 맞춰야 시간들을 낼 수 있는데 자연은 우리 시간에 맞춰주지 않는 거지요. 모가 더 자라지 못하도록 따뜻한 하우스에서 꺼내서 써래질이 끝난 우리 논에 담가뒀습니다.


▲ 모내기 모습



527일 시농제와 모내기
가족농부 60여명이 모였습니다. 생태보호종 금개구리가 와서 살라고 금개구리 논이라고 이름 붙였습니다. 우리 농사를 잘 돌봐 달라며 천지신명께 고사를 지내고 풍물도 치니 그럴 듯 하네요. 부드러운 논에 발을 담그고 따듯한 햇살을 받으며 손모내기를 했습니다. 아이들은 모 한 줄 심고서 바로 논 속으로 슬라이딩! 못줄 잡는 사람도 처음이고 모 내는 사람도 처음입니다. 이론으로 배운 농사가 잘될지 걱정이지만 다들 흐뭇합니다. 소를 잡아 설렁탕을 끓이지는 못했지만 모내기를 마치고 함께 먹는 잔치국수와 부침개는 꿀맛입니다.

624일 금개구리논 달빛 산책
심어놓은 벼가 잘 자라는지 궁금한 분들은 그 사이에 몇 번씩 왔다 갔다 한 것 같습니다. 이 날은 어린이들을 위한 양서류 탐사를 진행했습니다. 잠자리채와 랜턴을 들고 저녁에 모여 개구리 합창을 감상했네요. 제일 위쪽에 심은 흑갱은 전멸했습니다. 그 쪽은 처음부터 논바닥에서 좋지 않은 냄새가 나더니 그 영향인 것 같습니다. 농사에 적합하지 않은 흙을 복토한 탓이겠지요. 그러고 보니 논바닥에 뾰족한 돌덩이가 너무 많아서 맨발로 다니기 힘들 정도였던 기억이 납니다. 개발과 돈의 위력은 이미 논바닥에 깔려 있었습니다.   
625일 논두렁 제초
논두렁에 풀이 제법 자랐습니다. 농약과 제초제를 쓰지 않기로 했으니 풀을 깎아줘야 합니다. 농부아저씨의 예초기를 빌려서 논두렁 풀을 깎고 콩이랑 옥수수를 심었습니다. 논의 모는 바람에 잎을 살랑살랑 흔들며 뿌리를 잘 내리고 있다고 반겨주네요. 남쪽 지방에서는 가뭄으로 모내기를 못해 애를 태운다는데, 이곳은 한강물을 끌어오니 물 걱정은 하지 않습니다. 농부아저씨가 풀 뜯어 먹으라고 우렁이를 방사했다고 합니다. 벼 포기에 분홍색 우렁이 알이 많이 붙어 있습니다
722일 제초작업
벼가 제법 자라서 허리만큼 올라왔습니다. 피를 뽑자고 사람들을 모았습니다. 농약을 안쓰기로 했으니 피사리는 감수해야죠. 그런데 우렁이 덕분인지 신기할 정도로 풀이 없습니다. 번식이 너무 잘되는 외래종이라 생태교란의 염려가 있다 해서 꺼림직 했는데 어쨌든 고맙습니다. 일 없이 무릎까지 푹푹 빠지며 벼 포기 사이를 걸어다녔네요. 논 속에 사는 생물들과 볏 잎에 매달린 풀벌레들이 신기합니다.


▲ 세밀화 그리기



819일 세밀화 그리기
논에 벼 이삭이 팼습니다. 하얀 벼 꽃이 예쁘게 달렸습니다. 우리 종자들 중에 조생종이 제법 있는 것 같습니다. 이 아름다운 모습을 기록해 두자며 더위가 누그러진 해그름에 아이들을 불러 모았습니다. 화판에 스케치북을 펼쳐들고 논두렁에 둘러앉으니 그럴듯한 그림이 됐습니다.


▲ 쓰러진 벼 세우기

827일 쓰러진 벼세우기
올 여름에는 비가 쉴 새 없이 오네요. 824일 장마비로 벼가 쓰러졌습니다. 알곡이 먼저 영글어가던 대궐찰과 흑도 일부가 먼저 누워버렸네요. 평일이라 시간 맞는 사람들을 급히 소집하여 벼를 세우기로 했는데, 가는 날이 장날이라고 항공방제 때문에 논에 못나간답니다. 부천시에서 비용을 지원하여 친환경 약제를 두 번 뿌려주는데 이 날이 그 날이었던 것입니다. 일요일 날 시간을 내서 쓰러진 벼를 세웠습니다. 토종벼는 키가 월등히 커서 쓰러지기도 잘한다고 합니다.

99일 대궐찰 추수
쓰러졌던 대궐찰과 흑도를 세우고 고춧대까지 의지하여 묶어줬지만 한 번 쓰러진 후라 영 버티지 못합니다. 물에 담긴 이삭도 생겼습니다. 어느 정도 알곡이 여물었다고 판단하여 대궐찰은 추수를 했습니다. 잘라서 홀테로 이삭을 떨어보니 2kg이나 될까 말까 합니다. 잘 말려 두긴 했는데 도정할 일이 걱정입니다.

921일 다시 쓰러진 벼
엊그제 저녁에 잠깐 퍼 부운 세찬 비에 나머지 흑도와 자광도가 쓰러졌네요. 다시 논에 가서 세워주고 물에 잠긴 흑도는 베서 말리느라 하우스에 묶어 두었습니다. 좀 일찍 추수하는게 낫겠다싶어서 107일로 추수날을 잡았습니다.


▲ 조생종 3종 추수 모습



107일 조생종 3종 추수
추석연휴의 막바지에 추수꾼들이 모였습니다. 흑도, 자광도, 자치나를 추수하기로 했습니다. 서투른 낫질로 벼를 베고 수확의 기쁨에 들떠 포즈를 취하기도 했습니다. 벼만 베면 추수가 끝인 줄 알았던거죠. 그러나 남은 일이 더 많습니다. 볏단을 옮기고 탈곡기로 낱알을 떨어서 담는 일은 생각보다 힘들었습니다. 0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bcnews.kr/news/view.php?idx=179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확대이미지 영역
  •  기사 이미지 이새날 서울시의원, ‘도산공원 오월의 소풍’축제 참석…명품 문화도시 강남 만들 것!
  •  기사 이미지 경기도, 국방부와 2024년 상반기 군(軍) 관련 현안 해결을 위한 상생발전협의회 개최
  •  기사 이미지 박승원 광명시장, 제4대 자치분권지방정부협의회장 연임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